본문 바로 가기 글로벌네비게이션 바로 가기

학술지 <어학연구> 투고규정

제정 2012.01.02.
개정 2020.09.03.

1. 투고 규정

    제 1조 (투고 자격) <어학연구> 회원은 <어학연구> 홈페이지에 ‘논문을 비롯한 저작물(이하,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 논문 투고를 원하는 비회원은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회원의 자격을 얻어야 한다. 비회원이 포함된 공동논문의 경우 제 1저자 혹은 교신저자만 회원이어도 가능하며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Online Manuscript Submission System)’에서 회원으로 등록해야 한다.


    제 2조 (투고 논문 분야) 언어학 분야(통사론, 의미론, 음성학, 형태론 등의 순수 언어학과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 전산언어학 등 응용 언어학 등), 언어 교육 분야(언어 습득, 교수, 학습 등) 관련 분야의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 투고된 논문은 독창적인 학술 논문이어야 하며, 타 학술지 등에 이미 게재되었거나 게재될 논문은 게재될 수 없다.


    제 3조 (투고 구분) 투고 논문은 ‘일반 투고 논문(Normal Manuscript)’와 ‘긴급 투고 논문(Urgent Manuscript)’으로 나눈다. 긴급 투고 논문은 “가장 가까운 발행일에 논문을 게재할 목적으로 투고자가 긴급심사를 요청하고 늦어도 투고마감일 경과 후 15일 이내에 제출한 논문”을 말한다. 동일한 저자가 동일한 권.호에 단독저자로 두 편 이상의 논문을 투고할 수 없다.


    제 4조 (논문 투고 방법) 논문 투고는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Online Manuscript Submission System)’에 접속하여 진행한다. ‘연구윤리규정 준수’를 비롯한 ‘저자 체크리스트(Author Checklists)’의 모든 항목에 동의(confirm)한 후 각 화면의 양식에 맞게 입력 또는 선택을 하여 진행한다. 논문의 경우 일반 투고 논문(Normal Manuscript)’과 ‘긴급 투고 논문(Urgent Manuscript)’ 중 하나를 선택하고, 투고 논문의 원고 제출과 별도로 ‘제목과 초록(Title & Abstract)’ 화면에 영문으로 제목과 초록 및 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 ‘저자(Author)’ 화면에는 투고 논문의 모든 저자의 실명, 소속, 직위를 입력해야 한다. 투고 논문 원고는 학술지의 논문 양식에 맞게 편집하고 저자 정보를 모두 삭제한 후 업로드해야 한다. 투고 논문은 PDF 등 편집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출해서는 안 되며 HWP(권장) 또는 MS Word로 작성된 파일을 제출해야 한다. 단, 편집 환경 차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집위원회가 요청할 경우 PDF 파일을 제출해야 한다.


    제 5조 (원고 접수 마감일) 원고 접수 마감은 매년 2월 28일, 6월 30일, 10월 31일로 한다. 필요한 경우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마감일을 연장할 수 있다.


    제 6조 (학회지 발간일) 학회지는 매년 4월 30일, 8월 31일, 12월 31일에 발간한다. 단 8월 31일에는 영문판만을 발간한다.


    투고 언어 투고 분야 원고 마감일 발간일
    1호 영어/한국어 언어학 & 언어교육 2월 28일 4월 30일
    2호 영어 언어학 & 언어교육 6월 30일 8월 31일
    3호 영어/한국어 언어학 & 언어교육 10월 31일 12월 31일

    제 7조 (심사료 및 게재료) 논문 투고 시 별도의 심사료는 없으며 게재가 확정되면 편 당 게재료 100,000원을 어학연구 지정 계좌로 송금한다. 학술연구비 수혜 논문의 경우 편당 200,000원을 추가 납부한다(50권 2호부터 적용). 원고 분량은 학술지 기준 20쪽 이내(200자 원고지 80매), 20쪽을 넘을 시에는 1쪽 당 20,000원의 인쇄비를 내야 한다. 최대 30쪽으로 한다.
      ** 입금계좌: 농협 301-0095-2490-11, 예금주: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제 8조 (사용언어) 투고된 논문은 한국어 또는 영어로 작성하여야 하며,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제시해야 한다. 투고된 논문의 본문이 한국어로 작성되었더라도, 첫 페이지에 수록되는 제목은 영문 혹은 영문/국문으로 작성하며, 초록 및 키워드는 반드시 영문으로만 작성되어야 한다. 본문 내의 참고문헌 인용 및 참고문헌 리스트도 또한 반드시 영문으로만 작성되어야 한다. 인용된 한국어 논문의 경우 저자의 최선의 지식에 입각하여 영문으로 번역해서 제시하거나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본문이 한국어인 논문의 경우, 투고논문의 마지막 쪽에 ‘국문요약’을 반드시 수록해야 하고, 본문이 영어인 논문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수록할 수 있다.

2. 투고 형식

    제 9조 (원고 작성 방법) 원고는 HWP 또는 MS-Word 파일로 작성한다. 논문 작성 양식의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논문 작성 양식
    용지 크기 A4
    제목 및 초록 글상자를 이용하여 1단으로 제시
    초록은 200단어 내외로 작성(180~220단어 허용)
    본문 2단 편집
    여백 위, 왼쪽, 오른쪽: 20mm
    아래: 18mm
    꼬리말: 15mm
    글자 모양 영어: Times New Roman
    한국어: HY신명조체

    제 10조 (원고 구성) 원고의 구성은 [영문 제목, 영문 저자명, 영문저자소속, 영문초록, 키워드, 본문,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의 순서로 하고 ‘감사의 글’은 필요에 따라 본문과 참고문헌 사이에 아래위 각각 한 줄을 띄우고 제시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원고 구성 양식
    영문 제목 12p
    영문 저자명 10p
    영문 저자 소속 10p 이탤릭체
    영문 초록 9p, 180~220 단어
    키워드 9p, 5개
    본문 제목 큰제목(1.) 10p 볼드
    중간제목(1.1.) 10p 볼드
    작은제목(1.1.1.) 9p 볼드
    본문 9p, 줄간격 160%, 들여쓰기 9p
    참고문헌, 저자소개 9p

    제 11조 (그림 및 표) 그림과 표의 위치는 가능한 한 해당 그림과 표를 설명하는 본문의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 또는 그 이후 페이지의 상단이나 하단에 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반드시 본문의 텍스트 주변에 위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다. 그림은 높은 해상도를 권장한다. 그림이나 표는 가능하면 1단 너비에 맞게 작성하되 불가피할 경우 2단에 걸쳐 삽입할 수 있다. 그림과 표는 캡션에 일련번호를 붙여야 하며, 본문에서 인용할 경우 ‘...그림 1에서는...’, ‘... 표 2는 ...’과 같이 한다.

      ** 편집위원회는 별도로 그림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투고된 논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음성기호가 있을 경우 편집위원회에 이 사실을 미리 알리고 해당 글꼴 파일을 동시에 제출해야 한다. 특별한 글자체를 사용해야 할 경우 편집위원회에 이 사실을 미리 알려야 한다.


    제 12조 (번호) 번호체계는 1. → 1.1. → 1.1.1. 과 같이 사용한다. 본문에 인용되는 문구는 (1)과 같이 명기하고, (1), (2)와 같이 명기한다. 세부 내용은 영문의 경우 (1) a. 과 같이 알파벳 소문자를 사용하고, 국문의 경우 (1) 가. 와 같이 사용한다. 본문에서 인용할 때에는 (1), (2a)와 같이 사용한다.


    제 13조 (인용 문헌) 본문에서 참고문헌을 인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괄호 사이의 빈 칸이나 마침표의 위치 등에 유의해야 한다.


    영어 논문의 예 한국어 논문의 예
    Hong (1996) states that ... Hong(1996)의 연구에서도 ... 라고 하였다.
    Hong & Lim (2009) find that ... Hong & Lim(2009)의 연구에서도 ... 라고 하였다
    Hong et al. (2018) agree that ... Hong et al.(2018)의 연구에서도 ... 라고 하였다
    Krause & Braida (2004) verify that ... Krause & Braida(2004)는 ... 설명하였다.
    Bride et al. (2017) concluded that ... Bride et al.(2017)는 ... 설명하였다.

    (1) 본문에서 내용 기술 뒤에 관련 논문을 제시할 경우 다음과 같이 한다.

    영어 논문의 예 한국어 논문의 예
    ... is the case (Hong, 1996). ... 라고 하였다(Hong, 1996).
    ... is the case (Hong & Lim, 2009). ... 라고 하였다(Hong & Lim, 2009).
    ... is the case (Hong et al., 2018). ... 라고 하였다(Hong et al., 2018).
    ... is the case (Hong, 1996; Krause & Braida, 2004). ... 라고 하였다(Hong, 1996; Krause & Braida, 2004).

    (2) 다수의 논문을 인용할 경우 다음의 방식을 권고한다. 다만 연도 순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거나 다른 특별한 이유가 있을 경우 이를 따르지 않을 수 있다.


    • a) 제1저자명의 ABC 순서로 제시한다. b) 인용된 논문의 저자와 발간연도는 쉼표(,)로 구분하고 다수의 논문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c) 동일 저자의 다수 논문을 나타낼 경우 연도를 쉼표(,)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같은 연도에 출판된 복수의 논문을 제시할 때는 a, b, c 등으로 구분한다. [예] ...라고 하였다(Braun, 1900; Carlton et al., 1750; Jackson, 1800a, 1800b, 1810; Romeo & Juliet, 1600; Wilson, 1650).

    (3) 인용된 논문의 페이지는 연도 뒤에 제시한다. 이 경우 연도와 페이지는 콜론(:)으로 구분하되 빈칸 없이 제시한다. 여러 쪽을 제시할 경우 첫 쪽과 끝 쪽 사이에 하이픈(-)을 넣는다. [예] ...라고 하였다(임꺽정, 1700:15, 1710a:19, 1710b:91; 전봉준 외, 1700:15-17, 홍길동, 1800:5; Johnson et al., 1999:130).


    (4) 3인 이상 공저 논문을 인용할 때 저자를 모두 보여 준다는 점에서 ‘Johnson, Wilson & Jackson(1999)’처럼 제시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학회지에서는 참고문헌(References)에 저자 정보가 나타나므로 본문에서는 국문으로 작성된 논문의 경우 ‘전봉준 외(1999)’로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의 경우 ‘Johnson et al. (1999)’로만 제시한다.


    (5) et alter에서 나온 et al.은 라틴어 인용 표현이지만 i.e.(< id est) 또는 e.g.(< exempli gratia)처럼 관행으로 굳어진 것이므로 이탤릭체를 하지 않고 보통글자체로 한다.


    (6) 본문에서 선행 연구를 제시할 때 가능하면 관련 논문을 모두 제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불가피하게 소수의 대표적인 논문만 인용할 경우 마지막 인용 논문 다음에 ‘등’을 붙인다.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에서는 ‘among others, to name a few, inter alia’ 등을 쓸 수 있다.

      예1) ...라고 하였다(Fox & Terbeek, 1977; Zue & Laferriere, 1979 등).
      예2) ...a sight for sore eyes (Fox & Terbeek, 1977; Zue & Laferriere, 1979, among others).


    (7) 논문에서 소프트웨어를 인용할 경우 Praat처럼 해당 소프트웨어의 인용 방식을 정해 놓은 경우 가능한 한 이를 따른다. 만약 사용설명서, User’s Guide, Manual 등 출판된 문헌이 있는 경우 저서와 같은 형식으로 인용하고, 출판된 저서가 없을 경우에는 연구방법 섹션에서 관련 내용을 본문의 텍스트나 각주로 기술한다. 출판물 없이 인터넷에 게시된 소프트웨어를 불가피하게 인용할 경우 참고문헌 제시 방식을 따른다.


    제 14조 (참고문헌) 논문에 인용된 문헌은 ‘References’ 제목 하의 참고문헌 목록에서 반드시 출처를 밝혀야 한다. 목록 내용의 문단 모양은 10.2 포인트 내어쓰기로 한다. 참고문헌 목록은 제1 저자의 성(last name)을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여 제시한다. 동일 저자의 여러 논문을 인용할 때는 문헌의 출판 연도 순으로 제시하며 단독 논문을 공저 논문보다 먼저 제시한다. 참고문헌에 열거되는 저작물의 표기 형식은 다음과 같이 한다.


    항목 형식
    저자명
    author names
    ▸Last name, First name (initial), (Other name initial(s))의 순서
    ▸약어(initial)사용, 기호 사용 방법 등에 관해서는 해당 저작물에 제시된 바와 같이 표기
    ▸2인 이상의 경우 마지막 저자 앞에 ‘, &’ 표시
    Musk, E. R. (2014). Paper title ...
    Musk, E. R., & Hicks, J. R. (2011). The title ...
    대소문자화
    capitalization
    ▸정기간행물(journal, proceedings 포함)은 각 주요어(major word) 첫 자를 대문자화(capitalization)

    ▸자세한 방법은 APA reference list capitalization 형식을 준수

    ▸APA reference list capitalization: Periodical(journal, newspapers, magazines, proceedings)의 경우

    ▸주요어(major word) capitalization. 나머지는 문장 형식 대소문자화(sentence case capitalization)

    ▸주요어(major word): 3글자 이하의 접속사(conjunction), 관사(article) 전치사(preposition)를 제외한 단어

    ▸문장형식대소문자화(sentence case capitalization): 첫 글자, 고유명사 등만 capitalization
    Musk, E. R. (2014). This is the paper titl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2), 35-47.
    Hicks, J. (2017). This is a book title. London: Springer.
    이탤릭체화
    italicization
    도서명, 정기간행물 명은 이탤릭체 Ladefoged, P. (2013). A course in phonetics. New York: Heinle & Heinle.
    Kim, M. (2019). The paper title. Proceedings of ICPhS 2019...
    웹문서
    online resources
    ▸pre-print이거나 온라인으로만 발간하는 학술지여서 권, 호, 페이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DOI를 표기
    ▸DOI 표기 방식은 https://doi.org/xxx로 함
    ▸기타 내려받은 문헌, 컴퓨터프로그램 등은 ‘Retrieved from http://...’의 형식으로 명기
    Adams, F. (1999). A novel method of noise reduction. The Online Journal of Acoustics.
    https://doi.org/10.1037/..

    R Core Team (2019).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ersion 3.5.1)[Computer softwar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etrieved from https://www.R-project.org/

    아래는 인용된 저작물의 형식에 따른 참고문헌 작성법의 예시이다. 참고문헌 작성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학술지 논문 투고 표준양식(국문)에 안내되어 있다. 본 표준양식에 예시되어 있지 않은 참고문헌 인용 및 목록 제시 방식은 편집위원회와 협의하여 그 방식을 정한다.


    (1) 저서
    [형식]
    Author, A. A. (year). Title of work (xx ed., Vol. xx). Location: Publisher.
    Editor, A. A. (Ed.). (year). Title of work (xx ed., Vol. xx). Location: Publisher.
    Author, A. A. (year). Title of work. In A. Editor, & B. Editor (Eds.), Title of book (xx ed.,Vol. xx, pp. xx-xx). Location: Publisher.

    [예시]
    Lyons, C. (1999). Definitene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irst, D., Di Cristo, A., & Espesser, R. (2013). Levels of representation and levels of analysis for intonation. In M. Horne (Ed.), Prosody: Theory and experiment (pp. 51-87).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Duffy, J. R. (2013).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3rd ed.). St. Louis: Mosby.


    (2) 정기간행물수록 논문: 학술지, 잡지, 신문 등
    [형식]
    Author, A. A., Author, B. B., & Author, C. C. (year). Title of article. Title of Periodical, volumn(issue), page range.

    [예시]
    Washio, R. (1997). Resultatives, compositionality and language variation.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6(1), 1-49.
    Pagin, P., & Westerståhl, D. (2010). Compositionality I: Definitions and variants. Philosophy Compass, 5(3), 250-264.


    (3) 학위 논문
    [형식]
    Author, A. A. (year). Title of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Name of Institution, Location.
    Author, A. A. (year). Title of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Name of database. (Accession or Order No.)

    [예시]
    Clark, R. (2000). Machine recognition of segmental prosody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Edinburgh, United Kingdom.
    Hull, L. S. (2014). The influences of speech sounds: An example case study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American Doctoral Dissertations. (37CDD15DS659E63F)


    (4)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논문
    [형식]
    Author, A. A. (year, Month). Title of article. In Title of Proceedings (pp. xx-xx, Article number). Location.

    [예시]
    Denkowski, M., &Lavie, A. (2014, June). Meteor universal: Language specific translation evaluation for any target language. In Proceedings of the ninth workshop on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pp. 376-380). New York.
    David, S. (2008). Speech and cultural evolution. I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Speech Sciences (Vol. 108, pp. 3416-3420). https://doi.org/10.1073/pna0808677
    Santhanam, E., Martin, K., Goody, A., &Hicks, O. (2001, February). Bottom-up steps towards closing the loop in feedback on teaching: A CUTSD project. Paper presented at Teaching and Learning Forum - Expanding horizons in teaching and learning, Perth, Australia.


    (5) 기타 문헌
    [소프트웨어]
    Boersma, P., & Weenink, D. (2019).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6.0.46) [Computer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R Core Team (2019).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ersion 3.5.1) [Computer softwar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etrieved from https://www.R-project.org/

    [Working papers]
    Garellek, M. (2011). The benefits of vowel laryngealization on the perception of coda stops in English.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109, 34-37.
    Klatt, D. H. (1984). The new MIT speech VAX computer facility. Speech Communication Group Working Papers IV, Research Laboratory of Electronics, MIT, Cambridge, 73-82.
    Ericsdotter, C., & Ericsson, A. M. (2001). Gender differences in vowel duration in read Swedish: Preliminary results. Working papers 49, Department of Linguistics, Lund University, 34-37.

    [Technical reports, 기관보고서]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3). Managing Autism: A guide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IH Publication No. 02-2649). Retrieved from http://www.nih.gov/health/autism/aut.pdf

    [Technical reports, 저자 작성]
    Kessy, S., & Uriah, F. M. (2005). The foreign language policy in Angola (Research Report No. 06.2). Retrieved from African Language Resources website: http://www.alr.org/reports/3.pdf)

    [학술대회발표논문, DOI정보]
    David, S. (2008). Speech and cultural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Speech Sciences (Vol. 108, pp.3416-3420). https://doi.org/10.1073/pna0808677

    [서평(book review)]
    Schatz, B. R. (2000, November 17). Learning by text or context? [Review of the book The social life of information, by J. Brown & P. Duguid]. Science, 290, 1304.

    [블로그 글(blog post)]
    Park, H. (2009, October 31). Sounds and Scripts [Web log post]. Retrieved from http://blog.naver.com/hansangpark [Sorinoli]

    [온라인 포럼, 뉴스그룹 메시지]
    Rampersad, T. (2005, June 8), Re: Traditional knowledge and cross-cultural expressions [Online forum comment]. Retrieved from http://www.wipo.int/ipsforum/theme_how_can#comments

    [8명 이상의 저자]
    Young, S. J., Evermann, G., Gales, M. J. F., Hain, T., Kershaw, D., Moore, G., Odell, J., ...Woodland, P.C. (2006). The HTK book (version 3.4.). Cambridge University Press.

    [웹문서]
    Williams, J. (2010). Review of phonetics. Retrieved from http://www.phonetics.com
    Adams, F. (1999). A novel method of noise reduction. The Online Journal of Acoustics. https://doi.org/10.1037/jty0139055
    * DOI 정보는 pre-print이거나 온라인으로만 발간하는 학술지여서 권, 호, 페이지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만 표기함을 원칙으로 함.
    * APA 스타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웹 사이트를 참조
    https://owl.purdue.edu/owl/research_and_citation/apa_style/apa_overview_and_workshop.html


    제 15조 (저자 소개) 참고문헌 뒤에 모든 저자의 직위, 소속, 주소, 이메일을 명기한다. 참고문헌과 저자 소개 사이에는 두 줄을 띄운다. 저자 소개에는 저자의 이름, 저자의 소속 혹은 직책, 주소, 이메일 주소 순서로 제시한다. 논문의 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 반드시 논문 첫 페이지 저자 이름의 제시 순서에 따라 제시한다. 교신저자의 경우 연구에 참여한 저자의 수와 관계없이 논문의 첫 페이지 각주 난의 저자 이메일 주소 뒤에 ‘교신저자’(국문논문인 경우) 또는 ‘Corresponding author’(영문논문인 경우)라고 표시하고 논문 마지막 부분 참고문헌 뒤에 위치한 ‘저자 정보’의 저자명 뒤에도 동일하게 표시한다.


    • ex) Gildong Hong Professor or Master's Student or Ph.D. Canditat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Korea E-mail: gdhong@example.com

    제 16조 (심사 과정) 투고된 논문은 심사 규정에 따라 심사하며, 편집위원회에서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편집위원회는 저자에게 원고의 부분적 수정 및 보완을 요구할 수 있다. 저자는 합당한 논평이나 제안을 수용하여 논문을 수정해야 한다. 게재가 확정된 논문이라 하더라도 편집위원회의 정당한 요청이나 요구에 응하지 않을 경우 편집위원회는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 투고된 논문의 구체적 심사 절차는 별도로 정한다. 심사위원과 저자는 서로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제 17조 (저작권) 출판된 원고의 저작권은 출판이 확인된 날부터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에 귀속된다. 원고의 모든 저자는 원고를 제출할 때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고 저작권 이전에 동의해야 한다. 다만, 투고된 원고는 영리 목적이 아닌 한 저자 또는 소속이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거나 소속사 내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제 18조 (Open Access) <어학연구>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의 조건에 따라 배포되는 오픈 액세스 저널로, 제한 없이 비상업적 사용, 배포, 원본 저작물이 적절하게 인용된 경우 모든 매체에 복제 가능하다.